인증개요 평가모델 프로세스 인증상품

EVALUATION MODEL My, Pet 평가모델




분석기간

1년 간(23. 5. 1. ~ 25. 4. 30. ※ 론칭 첫 해인 2025년에만 2년 적용)

분석대상

반려동물 산업 내 푸드, 영양제, 서비스 등 B2C 브랜드 및 상품

분석채널

· 국내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(쿠팡, 11번가, 에누리, 네이버 쇼핑 등)
· 소셜미디어 (약 3,200만 X(트위터)계정, 77만 블로그/커뮤니티 등)
· 매스미디어 (국내 4,000여 개)
· 기타 관련 보고서

감성어 사전

어휘 분류체계를 활용한 감성분석을 통해 긍·부정 키워드 도출
긍정 키워드 안전, 예방, 건강한, 전문가, 풍부, 도움, 편리 등
부정 키워드 거부감, 알레르기, 약한, 별로, 불편, 오염, 거부 등

수집데이터

·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펫산업 내 브랜드(상품)를 체계적 분류(카테고리/품목/브랜드)
· 반려동물 연관산업 관련 데이터만 포함, 비관련/오류/중복 데이터는 사전 정제를 통해 제외

수집 데이터 유형
기초 데이터 기업명, 브랜드명, 상품명, 서비스명 등 산업지수 산출에 필요한 정보
정형 데이터 채널별 소비자 언급량(버즈량)
비정형 데이터 플랫폼 내 리뷰, 매스미디어 기사, 커뮤니티 등

RESEARCH DESIGN My, Pet 조사설계

평가방식

STEP 1데스크 리서치

· 기초 탐색 국내 주요 이커머스 및 포털 쇼핑페이지와 관련 산업보고서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활용하여
반려동물 연관 브랜드와 상품, 서비스 및 기업 정보를 파악
(리뷰, 후기 등의 정성적 요소와 평점, 판매량 등의 정량적 요소 종합 반영)

· 분석 기반 마련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펫산업 트렌드 흐름과 지수 산출에 필요한 주요 키워드 및 객관적 수치 도출

STEP 2빅데이터 분석

· 분석 개요 ㈜타파크로스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‘트렌드업 4.0’을 활용하여 브랜드별 언급량(버즈량), 주요 키워드,
긍·부정 감성분석, 이슈 등을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로 분리하여 각각의 소비자 담론을 분석

· 데이터 정제 산출물 전수검사를 통해 비관련, 오류, 중복 및 광고성 데이터는 제외

· 데이터 통합 및 분석 97개 소분류 품목에서 주요 브랜드를 정량적(버즈량, 판매순위 등) 및 정성적(감성분석, 리뷰,
미디어노출 등)의 기준에 따라 지수를 산출하여 최종 후보 브랜드 선정

P-CEI 산출공식